안혜성 집사 (가정의 힘) 요즘 우리 집 식탁 위에는 작은 화이트보드가 있습니다. 그것은 아이들과 밥 먹기 전에 함께 신나는 목소리로 읽는 짧은 성경구절이 씌여있는 보드입니다. 말씀이 바뀌는 주기는 보통 일주일인데 그 정도 기간이면 아이들은 금세 외워버리고 후다닥 읽어버리기 일쑤입니다. 이번 주의 말씀은 가정세움학교의 핵심 말씀 중 하나인 신명기 6장 5절 입니다.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얘들아 너희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해서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어떤 거라고 생각하니?” “하나님 말씀을 순종하는 거요!” “순종하는 게 뭔데? 너희들이 할 수 있는 순종이 뭘까?” “하나님 말씀 외우는 거요? 하나님 말씀대로 행동하는 거요!” “그것도 물론 맞아. 그런데 그것뿐만이 아니라 너희들은 힘껏 놀고, 열심히 공부하고 그리고 무엇을 하든지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만한 마음으로 감사히 하는 모든 것들이야. 만일 하나님께서 공부 1등한 사람만 내 자녀로 삼아야겠다 하셨으면 세상엔 하나님 자녀가 몇 명 없겠지. 그렇지만 하나님은 마음을 보신다고 하셨거든. 마음을 드리는 건 어린이인 너도 할수 있는 일이야.
최영우(도움과 나눔 대표) 가정, 사회의 심장 구약성도들에게 있어서 가정은 예배와 삶의 중심이었다. ‘ 아비의 집 (바이트 아브)’라는 단어로 상징되는 가정은 1) 모든 경제적/사회적 생산과 보호의 근원 2) 예배와 신앙교육의 중심 3) 이웃 돕기, 자선과 구제 - 체다카의 근원이었다. 모세오경에 가족과 관련된 율법이 그토록 많은 이유, 유대인들이 가정을 사회의 심장이라고 부르는 이유다. 유대인에게 있어서 가정 중심의 예배의 의미가 가장 잘 나타난 것이 '안식일 가정예배'이다. 안식일 가정예배의 핵심적인 순서들과 의미들을 살펴보며, 오늘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주는 시사점을 나누고자 한다. 안식일 예배의 순서와 구성요소 금요일 오후가 되면 대부분의 가족 구성원은 집으로 향한다. 분위기가 굉장히 들떠 있고, 많은 경우 꽃을 준비해서 간다. 해가 지기 전 어머니가 가족의 수만큼 초에 불을 붙이는 것으로 안식일이 시작된다. 가정에 빛과 밝음을 가져오는 것은 어머니라는 뜻이 있다. 아이들이 초에 불을 붙이는 것에 동참하기도 하는데 무척 재미있어 한다. 초를 켠 다음, 옷을 챙겨 입고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는 회당으로 이동한다. 내가 초대받았던 가정의 경우에는 개도
유대인들은 가정을 '작은 성소'라고 부릅니다. 하나님의 말씀인 토라를 가르치고, 하나님의 천사들을 환대하듯 손님들을 환대하고 섬기며, 하나님이 명하신 절기들을 함께 축하하는 공간이 바로 유대인의 가정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유대인 부모는 그 성소를 섬기는 제사장이자, 교사라고 인식합니다. 자녀들에게 토라를 가르치는 교사로서, 부모들은 일상 속에서 자녀들에게 유대교 신앙과 가치를 자연스럽게 가르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기회를 만듭니다. 무엇보다 부모 자신이 토라를 열심히 공부하고, 자신의 유대인 정체성을 소중히 여기며, 식탁 자리에서 열심히 그것을 강론하고 토론합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좋은 유대인이 되는지에 대한 모델을 자녀들에게 제시합니다. 모든 자녀들은 부모의 관심과 가치체계와 행동들을 무의식중에 흡수하고 따릅니다. 비록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좋은 유대인 부모가 좋은 유대인 자녀를 만든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가장 반항적인 사춘기 자녀들도, 자신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비록 심한 잡음과 혼돈의 시기가 있겠지만, 여전히 무의식 속에는 부모의 가치가 그대로 남습니다. 유대인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유대교 신앙을 가르치는 방식은
고난을 기억하는 감사 배준완 목사 (가정의힘 교육위원, 일원동교회) 젊은 세대들과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망할 놈의 인스타’라는 표현을 가끔 듣습니다. 누가 어디서 핫하고 쿨한 경험을 했다는 자랑이 가득한 SNS를 보면, 끊임없이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며 불안하고 우울해진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국민 소득 3만불 시대에 접어들고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던 풍요를 누리는 데 비해,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은 높아지지 않는 이유가 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어느 때보다 감사할 것이 풍성한 시대에 우리는 정작 감사를 잊고 은혜에 메말라 가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축제일인 장막절은 일곱째달 티쉬리월 15일부터 시작되는 7일간의 대축제입니다. 유대인들에게 일곱째 달은 매우 특별합니다. 이 달 1일의 나팔절(로쉬 하샤나, 새해 첫날)과 10일의 대속죄일(욤 키푸르), 그리고 장막절(숙곳)까지 큰 축제들이 몰려 있어 긴 휴식기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일곱째달은 오늘날의 달력으로 9월~10월에 해당되는, 일년 중 가장 풍성하고 여유로울 때입니다. 팔레스틴에서는 이 때쯤 가을 추수가 모두 끝나고 농한기가 시작됩니다. 그런데 유대인들은 가장 넉넉하고